한글(HWP)이 버벅거리거나 저장이 느려질 때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문서 작업 중 한글(HWP) 프로그램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저장이 지연되면 작업 흐름이 끊기고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이미지가 많은 문서나 장시간 사용한 경우, 프로그램이 멈추거나 ‘응답 없음’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. 아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입니다.
1. 사용자 데이터 초기화
한글은 사용 중 다양한 설정과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며, 이 데이터가 누적되면 프로그램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방법: 윈도우 키 + R →
%appdata%
입력 →HNC
폴더 삭제효과: 최근 문서 목록, 문자표 기록 등이 초기화되며 프로그램 반응 속도 개선
※ 삭제 전, 필요한 기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한글 파일 저장 시 용량이 줄어들어요 : 네이버 지식iN
한글에서 대용량파일 취합 시 느려지거나 멈추는 문제.. : 네이버 블로그
요즘한컴2022 버벅거리고 프리징 걸려서 문의했더니 - 웹소설 연재 마이너 갤러리
2. 자동 저장 간격 조절
자동 저장 기능은 유용하지만, 저장 간격이 너무 짧으면 작업 중간에 프로그램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방법: [도구] → [환경설정] → [파일] 탭 → ‘쉴 때 자동 저장’ 간격을 30초 이상으로 설정
효과: 저장 중 발생하는 렉 현상 완화
3. 맞춤법 도우미 기능 끄기
맞춤법 도우미는 실시간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기 때문에, 문서가 길거나 복잡할 경우 프로그램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
방법: [도구] → [환경설정] → [편집] 탭 → ‘맞춤법 도우미 작동’ 체크 해제
효과: 커서 이동 및 입력 반응 속도 향상
4. 이미지 및 개체 최적화
이미지가 많은 문서는 파일 용량이 커지고 저장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 특히 복사-붙여넣기 방식으로 삽입된 이미지나 불필요한 개체는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.
방법
이미지 삽입 전 압축 (TinyPNG, IloveIMG 등 활용)
복잡한 도형·차트는 단순화하거나 스크린샷으로 대체
‘다른 이름으로 저장’ 기능으로 내부 찌꺼기 정리
5. 압축 저장 기능 활용 (한글 2020 이상)
한글 2020부터는 문서 내 이미지와 개체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‘압축 저장’ 기능이 제공됩니다.
방법: [파일] → [문서 정보] → [압축 저장]
효과: 저장 속도 개선 및 파일 용량 감소
한글(HWP)이 느려지거나 저장이 지연되는 문제는 누적된 사용자 데이터, 자동 기능 설정, 이미지 처리 방식 등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됩니다. 위의 방법들을 적용하면 대부분의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, 정기적인 관리로 쾌적한 문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